안녕하세요
오늘은 하이먼 민스키 모델 (Hyman Minsky Mode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 (Hyman Minsky Model)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Hyman Minsky)가 개발한 경제 모델로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과 금융 위기의
발생 원인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금융 시장과 경제의 사이클성, 불안정성,
그리고 부채와 금융 거래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하이먼 민스키는 경제 시스템 내에서
금융 거래와 부채의 증가가 급격하게 이루어질 때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경제 위기와 금융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모델은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금융불안가설 (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
하이먼 민스키는 경제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강조하는 금융불안가설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경제의 사이클성과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지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경기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키고
금융 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세 단계 모델 (Three Stages of the Cycle)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세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는 경기 부양 단계로
경기가 안정하고 금융 시장도 안정적인 상태입니다.
두 번째는 성장 단계로
경기가 호황을 겪고 부채와 금융 거래가 증가합니다.
세 번째는 위기 단계로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과 파산의 위험이 커지고 경기가 하락합니다.
금융 중재자의 역할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금융 중재자의 역할에도 주목합니다.
금융 중재자는 자금을 조달하고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데
중재자의 역할은 경기 부양과 동시에 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경기가 호황에 접어들면 중재자는 쉽게 대출을 제공하고
부채의 증가를 격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 하락이 발생하면
부실채권과 파산 위험이 급증하게 됩니다.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
하이먼 민스키는 금융 시장이 자체적으로 불안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경기의 성장과 함께 금융 거래와 부채의 증가가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키는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위험적인 금융 거래와
신용 위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채와 불안정성
하이먼 민스키는 부채의 증가가 경제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부채는 경기 호황과 함께 증가하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킵니다.
금융 시장에서는 초기에는 건전한 신용 기반이 형성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실채권과
불안정한 금융 거래가 증가하여 위기의 씨앗을 심게 됩니다.
민스키 모멘텀
하이먼 민스키는 금융 시장에서의
거래와 투기의 동기가 경기의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제시했습니다.
이를 "민스키 모멘텀"이라고도 부릅니다.
경기가 호황에 접어들면 투기적인 행동이 확산되어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이먼 민스키 모델은 금융 시장과 경제의 불안정성에 대한 중요한 시각을 제공하고
금융 위기의 발생 원인과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모델은 금융 시장과 금융 거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 결정자와 경제학자들에게 경제의 불안정성을 고려한
정책 수립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스테이크홀더 캐피탈리즘,Stakeholder Capitalism)이란? (0) | 2023.06.27 |
---|---|
금융 버블(Financial Bubble)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6.23 |
알파(Alpha)란 무엇일까요? (0) | 2023.06.21 |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6.15 |
리스크 오프(Risk-off)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