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선물의 기술적지표 중
MACD(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CD(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주식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술적 분석 지표 중 하나입니다.
MACD는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측정하여 추세의 방향성과 강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
추세의 반전 시기를 파악하고 매매 신호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MACD는 세 가지 주요 요소
MACD 라인(MACD line)
MACD 라인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기본적으로 12일 이동평균선에서 26일 이동평균선을 뺀 값을 의미합니다.
MACD 라인은 주가의 추세 변화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사용되며
라인이 양수인 경우 상승 추세를, 음수인 경우 하락 추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신호선(Signal line)
신호선은 MACD 라인의 9일 이동평균선을 나타내며
MACD 라인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표현하여
추세의 변화를 보다 뚜렷하게 보여줍니다.
MACD 라인과 신호선의 교차는 매매 신호를 생성하는 중요한 지점으로 간주됩니다.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MACD 라인과 신호선 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막대 모양으로 표시되며, 양수인 경우 상승 추세를, 음수인 경우 하락 추세를 나타냅니다.
히스토그램의 높이와 방향은 추세의 강도와 방향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MACD의 주요 사용법
MACD 라인과 신호선의 교차
MACD 라인이 신호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로 간주될 수 있으며
반대로 MACD 라인이 신호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히스토그램의 변화
히스토그램의 양수 지역에서 음수 지역으로의 전환은 매도 신호로 간주될 수 있고
음수 지역에서 양수 지역으로의 전환은 매수 신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또한 히스토그램의 높이가 증가하면 추세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MACD는 단기와 장기 이동평균선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추세의 방향성과 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강력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MACD만으로 매매 결정을 내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e) (0) | 2023.08.31 |
---|---|
투자심리선 (Psychological Line) (0) | 2023.08.30 |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Stochastic Oscillator) (0) | 2023.06.12 |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0) | 2023.06.02 |
VR(Volume Ratio, 거래량 비율)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