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선물옵션 용어에 관련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zzHt/btszGUdmVfd/hvnd5P06tIdOsMe4FMByL1/img.png)
- 등가격
옵션에 있어서 행사가격과 옵션의 기초상품 가격이 동일한 경우.
- 등가격 옵션
소유자가 즉시 권리를 행사하면 0의 현금유입이 발생하는 옵션.
대상자산의 시장가격이 옵션의 권리행사가격과 동일한 상태에 있는 옵션을 말한다.
- 데이트레이딩
당일 마감거래. D78 거래자가 포지션을 익일로 이월시키지 않고 체결한 당일에 반대매매를 통해 포지션을 마감하는 거래형태
- 레버리지 효과
손익확대효과 또는 지렛대효과로 불리는데, 이는 현물거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금액으로 큰 규모의 거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파생금융상품 거래에서는 원금에 상당하는 자금이 필요하지 않고 그 일부만으로 큰 금액의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다는 의미에서 레버리지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투자자본에 대 수익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반면에 손실률이 커질 위험도 있다.
- 마진콜
증거금 납입 요청. 증거금 잔액이 유지 증거금을 하회했을 경우 증거금 납입 요청을 받는다. 개시 증거금이 납입되고 새로운 포지션을 취한 경우 매일 해당 선물의 종가의 변동에 따라 증거금 및 예탁금 수준이 변하게 된다. 만일 해당 선물가격이 고객의 포지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고객의 개시 증거금이 감소하게 되어 마침내는 유지 증거금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유지 증거금 수준 이하로 떨어진 부분을 추가증거금이라 하고 바로 추가 증거금 추가 납부가 요구된다. 이 추가 증거금을 요구하는 것을 마진콜이라 한다.
- 매수차익거래
실제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시장베이시스가 이론 베이시스에 비해 크거나 양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저평가된 현물을 매수함과 동시에 고평가된 선물을 매도하는 거래.
- 매도 차익거래
실제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시장베이시스가 이론 베이시스에 비해 작거나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함과 동시에 고평가된 현물을 매도하는 거래.
- 미결제약정
현재 남아있는 계약의 수로서, 특정 계약의 총매입포지션의 합계 또는 총매도포지션의 합계. 일정 시점에 남아있는 계약의 잔고수로 반대매매되지 않았거나, 만료일에 도래하지 않은 계약의 총수를 말한다.
- 백워데이션
현재의 공급은 제약된 반면에 장래 공급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면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밑돌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아지는 상황을 역조시장(inverted market)이라 하고 이때의 베이시스를 백워데이션이라 부른다.
- 서킷브레이커
필요적 매매거래 중단제도. 이는 선물가격이나 주가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경우 시장을 안정화시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 시스템 트레이딩
과거의 가격데이터로 수익의 가능성이 검증된 계량화된 전략을 바탕으로 매 거래 시에 컴퓨터가 보내주는 거래 시그널에 따라 기계적으로 거래하는 거래 기법.
- 시간가치
만기일까지 기간이 남아있다는 사실로부터 발생하는 옵션가치로서 옵션가격에서 내재가치를 차감한 값. 시간가치란 옵션프리미엄, 즉 옵션가격이 행사가치를 초과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옵션이 만료되기 전 언젠가 대상자산의 가격이 유리하게 움직여 옵션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옵션매수자의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시간가치는 외재가치(extrinsic value)라고도 한다.
- 옵션
특정 대상물(기준물, underlying asset)을 미리 정해 놓은 일정한 가격(행사가격, exercise price)으로 살 수 있는 권리와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거래
- 옵션매도자
옵션을 창출하여 매도함으로써 매수인에게 권리를 부여하고 그 대가로 옵션가격인 프리미엄을 받는 자. 발행자(writer)라고도 하며, 옵션매수자로부터 프리미엄을 받는 대신에 매수자의 권리행사에 따른 대상자산 거래를 이행할 의무를 진다.
- 옵션매수자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자. 보유자(holder)라고도 한다.
- 지수가중이동평균 / EWMA
관찰치가 얼마나 최근인지의 여부에 의해서 가중치가 변하는 방법으로 구한 평균
- 컨버전
동일 만기, 동일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고 풋옵션을 매입함과 동시에 선물매입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다. 즉, 합성선물 매도포지션과 선물매수포지션을 합성한 것으로 시장가격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금액의 손익이 발생할 것이다.
- 콘탱고
실제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은 상태 즉, 시장베이시스가 (+)인 상태. 원월물시장이 근월물시장보다 프리미엄을 갖는 시장이며 이것을 다른 말로 정상시장(normal market) 혹은 보유비용 시장(carrying charge market)이라고 한다. 선물매도시에 미래의 가격변동을 회피하기 위하여 현재의 가격으로 미래물량을 확보하여야 하며 인도시까지 창고비용, 보험, 금융비용 등 각종 보유비용이 필요하므로 인도월이 멀어질수록 보유비용이 많아 원월물의 가격이 근월물보다 비싼 프리미엄에 매매되는 집단적인 시장을 말한다.
- 투기거래
현물시장과 관계없이 선물가격의 상승이 예상되면 선물계약을 매수하고 하락이 예상되면 선물계약을 매도하는 거래를 말한다.
- 포지션
특정시장에서 투자자의 보유 상태. 예를 들어 투자자가 옵션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도는 선물을 신규매수한 경우 매수포지션(long) 상태이며, 옵션을 발생한 경우 또는 선물을 신규매도한 경우 매도포지션(short)상태라고 한다. 매수한 옵션 또는 선물을 전매(resale)하면 매수포지션이 전매한 만큼 감소되고, 매도한 옵션 또는 선물을 환매하면 매도포지션이 그만큼 감소한다.
- 프리미엄
대상자산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취득의 대가로 옵션매수인이 매도인에게 거래성립시 지불하는 금액. 이는 곧 옵션의 가격이며 일부에서는 옵션의 시간가치만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옵션의 가격은 기초자산의 가격과 행사가격과의 차이에서 얻어지는 내재가치와 잔존기간동안의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성에 기초한 시간가치(time 또는 extrinsic value)에 의해서 결정된다. 기초자산의 가격을 S, 행사가격을 X라 하면, 콜옵션의 가치는 MAX(S-X, 0)+시간가치이며 풋옵션의 가치는 MAX(X-S, 0)+ 시간가치가 된다.
- 합성옵션
옵션과 선물포지션을 상호 조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 합성 콜옵션과 합성풋옵션이 있는데, 합성콜옵션은 풋옵션과 선물을 동시에 매입하면 콜옵션의 성격을 띄게 되어 다른 말로는 합성 매입 콜옵션이라고 하며, 합성 풋옵션은 콜옵션을 매입하고 동시에 선물을 매도하면 풋옵션의 성격을 가지게 되며 이를 합성 매입 풋옵션이라고도 한다.
- 헤지거래
현재 현물시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 또는 장래에 취하려는 포지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선물옵션시장을 이용하는거래.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기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선물 정프로 흑삼병 적삼병 뜻 알아보기 (0) | 2023.11.07 |
---|---|
해외선물정프로 봉차트 캔들차트 보는 법 (0) | 2023.11.06 |
해외선물 슬리피지란 무엇인가? (1) | 2023.11.02 |
선물옵션 기초자산 변동성과 옵션가격 (1) | 2023.11.01 |
해외선물 거래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