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목표 '5%' 의미는
'부채 리스크' 관리 주력
작년 적자 8.9조위안 '역대 최대'
올 위드 코로나로 세수 증가에도
감세 줄여 재정적자율 3% '순탄'
도시 일자리 1200만개 창출
"내수 활성화에 핵심 역할할 것"
'美와 갈등 대응' 국방비 7.2↑
과학기술 예산도 3% 증액 책정
시진핑 집권 3기가 공식 출범한 중국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했다. ‘제로 코로나’ 방역 철폐와 작년의 부진한 성장을 감안하면 시장 예상보다 다소 낮은 목표라는 평가가 나온다. 부채 부담과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중국 지도부가 무리한 성장보다는 체질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올해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힘입어 중국이 5% 이상 성장을 어렵지 않게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5.2% 성장을 예상했다. 국무원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도 5.1%를 내놨다.
재정적자 대폭 줄인다
리커창 총리는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목표치가 5% 안팎이라고 밝혔다. 이는 1991년(4.5%) 후 가장 낮은 목표다. 중국은 작년에도 1991년 후 최저인 5.5%를 목표로 제시했다가 3.0% 성장에 그쳤다.다만 올해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힘입어 중국이 5% 이상 성장을 어렵지 않게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5.2% 성장을 예상했다. 국무원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도 5.1%를 내놨다.

국무원은 올해 업무보고에서 감세 목표도 삭제했다. 또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 기업 범위를 월 매출 15만위안에서 10만위안으로 줄였다. 지난해에는 2조5000억원의 감세 목표치를 제시했고 실제 4조2000억위안 감세를 이뤄냈다. 올해는 ‘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세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감세까지 줄여 재정적자율은 정부가 제시한 3%에 보다 가까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연간 재정적자는 지난해 8조9600억위안으로 역대 최대였다.
국방·과학기술 예산 늘려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지방정부 재정을 지원하는 이전지출은 10조625억위안으로 산정했다. 작년보다 7.9% 증가한 수준이지만, 지난해 전년 대비 18% 늘린 것에 비하면 증가율은 낮아졌다. 지방으로 이전하는 국유기업 이익금 규모도 8000억위안에서 5000억위안으로 줄였다.중국 정부는 신규 도시 일자리 창출 목표를 작년보다 100만 개 증가한 1200만 개로 내걸었다. 저우하오 궈타이쥔안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일자리 확대가 정부의 경제 방향인 내수 활성화의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국방 예산은 작년보다 7.2% 늘어난 1조5537억위안으로 설정했다. 중국의 국방비 증가율은 2020년 6.6%에서 2021년 6.8%, 작년 7.1%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해외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스텝 갈수 있다” 파월 발언에 주저앉은 S&P500…1.53%↓ (0) | 2023.03.08 |
---|---|
“펀더멘털·기술적 측면 모두 문제”…상승 모멘텀 잃은 美 증시 (0) | 2023.03.07 |
美 투자은행 "엔비디아와 AMD가 AI전쟁 승자될 것...강력 매수" (0) | 2023.03.03 |
美헤지펀드 거물 "작년 37% 수익 달성...2개 종목은 올해도 홀딩" (0) | 2023.03.02 |
세계최대 운용사 "인플레 고착화 가능성...성장주→가치주 눈돌려야"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