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인공지능(AI)판 앱마켓’인 ‘GPT스토어’를 선보였다. 챗GPT와 그 대형언어모델(LLM)인 GPT를 활용한 플랫폼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1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GPT스토어 운영을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GPT스토어는 인공지능 대형언어모델(LLM)인 GPT를 기반으로 개발된 여러 애플리케이션(앱)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GPT스토어는 지난해 11월 출시 예정이었으나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축출·복귀 등 사내 내홍으로 출시가 연기됐다.
오픈AI는 GPT스토어 활성화를 위해 간단한 대화체 명령어로 GPT LLM에 기반한 ‘맞춤형 챗봇’ 개발 도구인 GPTs를 지난해 11월 공개했다. GPT스토어 출시 첫날인 이날만 해도 산책로 추천·프레젠테이션 디자인·논문 검색 등 300만개에 이르는 앱이 올라왔다.
GPT스토어를 이용하려면 구독료로 한 달에 20달러(약 2만6000원)을 내야 한다. 오픈AI는 GPT 앱 개발자가 GPT 개발자의 수익 창출 모델도 1분기 중 공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우선 미국 개발자부터 앱 이용자 수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이날 오픈AI는 ‘챗GPT 팀’이라는 서비스도 함께 공개했다. 기업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 챗GPT보다 보안을 강화한 버전이다. 오픈AI는 챗GPT 팀에서 오간 대화나 데이터는 어떤 경우에도 AI 학습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보안성을 강조했다. 챗GPT 팀 이용자는 최신 LLM인 GPT-4와 이미지 생성 AI 달리(DALL-E)-3., 데이터 분석 기능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챗GPT 팀 역시 유료 서비스로 사용자당 구독료는 한 달에 25~30달러(약 3만 3000~4만원)이다.
NYT는 GPT스토어 출시에 대해 “오픈AI는 앱마켓을 통해 회사의 (AI) 기술을 기업과 고객을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평가했다. 챗GPT의 성장세가 주춤한 상황에서 GPT를 이용한 플랫폼을 다른 기업에 제공해 사업 규모를 더욱 확장하겠다는 뜻이다.
지난해 오픈AI 이사회는 AI의 위험성과 함께 지나친 영리화를 이유로 올트먼 CEO를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오픈AI는 ‘안전한 일반인공지능(AGI·인간 이상의 지능을 갖춘 AI)’ 개발을 목표로 한 비영리단체로 출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임 나흘 만에 올트먼 CEO가 복귀하면서 오픈AI의 수익활동엔 전보다 더 강한 힘이 실리게 됐다.
1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GPT스토어 운영을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GPT스토어는 인공지능 대형언어모델(LLM)인 GPT를 기반으로 개발된 여러 애플리케이션(앱)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GPT스토어는 지난해 11월 출시 예정이었으나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축출·복귀 등 사내 내홍으로 출시가 연기됐다.
오픈AI는 GPT스토어 활성화를 위해 간단한 대화체 명령어로 GPT LLM에 기반한 ‘맞춤형 챗봇’ 개발 도구인 GPTs를 지난해 11월 공개했다. GPT스토어 출시 첫날인 이날만 해도 산책로 추천·프레젠테이션 디자인·논문 검색 등 300만개에 이르는 앱이 올라왔다.
GPT스토어를 이용하려면 구독료로 한 달에 20달러(약 2만6000원)을 내야 한다. 오픈AI는 GPT 앱 개발자가 GPT 개발자의 수익 창출 모델도 1분기 중 공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우선 미국 개발자부터 앱 이용자 수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이날 오픈AI는 ‘챗GPT 팀’이라는 서비스도 함께 공개했다. 기업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 챗GPT보다 보안을 강화한 버전이다. 오픈AI는 챗GPT 팀에서 오간 대화나 데이터는 어떤 경우에도 AI 학습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보안성을 강조했다. 챗GPT 팀 이용자는 최신 LLM인 GPT-4와 이미지 생성 AI 달리(DALL-E)-3., 데이터 분석 기능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챗GPT 팀 역시 유료 서비스로 사용자당 구독료는 한 달에 25~30달러(약 3만 3000~4만원)이다.
NYT는 GPT스토어 출시에 대해 “오픈AI는 앱마켓을 통해 회사의 (AI) 기술을 기업과 고객을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평가했다. 챗GPT의 성장세가 주춤한 상황에서 GPT를 이용한 플랫폼을 다른 기업에 제공해 사업 규모를 더욱 확장하겠다는 뜻이다.
지난해 오픈AI 이사회는 AI의 위험성과 함께 지나친 영리화를 이유로 올트먼 CEO를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오픈AI는 ‘안전한 일반인공지능(AGI·인간 이상의 지능을 갖춘 AI)’ 개발을 목표로 한 비영리단체로 출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임 나흘 만에 올트먼 CEO가 복귀하면서 오픈AI의 수익활동엔 전보다 더 강한 힘이 실리게 됐다.
박종화(bell@edaily.co.kr)
'해외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틀 버핏' 애크먼 "美 연준, 올해 공격적 금리인하에 나설 것" (2) | 2024.01.15 |
---|---|
美국방부 "포탄 부족"…한국 방산업계 호재? (0) | 2024.01.12 |
'ETF 승인' 가짜뉴스에 비트코인 '출렁'…"15분간 업계 들떠" (0) | 2024.01.10 |
비관론 버린 닥터둠 "최악의 시나리오 가능성 상당히 낮아" (1) | 2024.01.09 |
레이몬드 제임스 "올해 증시 상승 제한적...호재 시장에 선반영"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