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자료/해외선물 기초공부

해외선물거래 매수와 매도의 개념

해외선물 전문 정프로 2023. 11. 10. 10:57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선물시장의 원리와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거에는 해외선물 투자에 입문하려는 분들이 대부분 주식시장에서 오래동안 투자를 하시다가 국내선물, 선물옵션 시장들을 걸쳐 해외선물 시장으로 유입이 되는 경우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해외선물이 양방향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과 레버리지 효과가 크다는 점등을 통해 해외선물 투자를 도전하려고 하시는분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

  • 주가 상승 예상 시 : 주식을 매수(산다) > 원하는 시점에 매도(판다)
  • 주가 하락 예상 시 : 주식 매매금지, 현금 보유

해외선물시장

  • 종목 상승 예상 시 : 종목을 매수(산다)> 원하는 시점에 매도(판다)
  • 종목 하락 예상 시 : 종목을 먼저 매도(판다) > 원하는 시점에 매수(산다)

항상 매수와 매도, 매도와 매수 절차가 끝나야 매매는 완료되는 것입니다. 매수만 했거나 매도한 상태는 그 종목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포지션을 보유 중이다라고도 말합니다.

해외선물의 큰 장점이라고 하면 바로 양방향 매매를 꼽을 수가 있겠죠. 현물시장, 즉 주식시장은 주가가 상승을 해야지만 나의 주식가치가 함께 오르면서 수익실현을볼 수 있는 시장인 반면 해외선물 시장에선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포지션에 따라서 큰 수익실현이 가능한 시장입니다.

하지만 그 이유가 무엇 때문이고, 어떤 원리로 인해 가능한 것인지 모르고 시작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아 기초적인 선물 시장시장의 원리에 대한 예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옥수수 농사를 짓는 농부가 있다고 치겠습니다. 내년의 옥수수 가격이 폭락할 것 같다는 예상을 하고 있고, 옥수수를 취급해서 판매하는 도매상은 반대로 내년의 옥수수 가격이 폭등할 것 같다는 예상을 하고 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미래의 옥수수 가격을 상반되게 예상하고 있을 때는 상호간의 이익을 위해 미리 계약을 체결하고 싶어할겁니다. 바로 서로간의 가격 조율을 통해 1년 뒤에 있을 옥수수를 미리 선도거래(선물거래)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농부와 도매상은 현재 옥수수 가격인 2,000원으로 선물거래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1년뒤 옥수수 시세와 상관없이 농부와 도매상은 반드시 2,000원의 가격으로 사고 팔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계약이 체결되었다면 옥수수 가격이 3,000원으로 오르게 될 경우 도매상은 옥수수당 1,000원의 차익을 얻게 되고 옥수수 가격이 1,000원으로 떨어지게 되면 도매상은 1,000원의 손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가격이 오르게 되어도 옥수수 가격이 폭락하는 최악의 경우를 피하기 위한 농부와 수익을 보게 된 도매상은 서로가 윈윈 할 수 있는 투자를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정리해보자면

 

 
 

선물 매입(매수, Long future)

선물 만기일에 기초자산을 인수(매입)하고, 그 대가로 사전에 정한 대금을 지불할 것을 약속하는 것을 선물 매입이라고 합니다. -선물매수

선물(또는 선물계약)을 매입한 상태를 '롱포지션'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선물을 매입(매수) 한 후 만기일이 되면 기초자산을 실제로 인수하거나, 또는 만기일 이전이라도 선물을 다시 매도함으로써 실물 인수의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선물을 매수하는 이유는 만기일에 현재보다 기초자산 가격이 자신이 매수한 가격보다 높을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선물 매도(매도, Short future)

선물 만기일에 기초자산을 인도(매도)하고 그 대가로 사전에 정한 대금을 영수(수취)할 것을 약속하는 것을 선물을 매도한다라고 합니다. -선물매도

선물을 매도한 상태를 '숏포지션'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선물을 매도한 후 만기일이 되면 기초자산을 실제로 인도하거나, 또는 만기일 이전이라도 매도했던 선물을 다시 매수함으로써 실물인도의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선물을 매도하는 이유는 만기일에 현재보다 기초자산 가격이 자신이 매수한 가격보다 낮을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선물시장에서 매도한 것을 만기일 이전에 재매입하는 것을 환매수(Short covering), 매입한 것을 만기일 이전에 재 매도하는 것을 전매도(Long liquidation)라고 합니다. 이러한 환매수, 전매도를 통해 기존의 포지션(선물 매입 또는 선물 매도)을 청산하는 것을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오늘은 해외선물 매수 매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이상 해외선물정프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