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주식을 매매하다보면, 요즘 같은날에는 들쭉날쭉 하여 시장이 좋지 않을때가 꽤 많습니다.
긴 프레임 타임을 놓고 볼 때, 시장은 올라가는데에는 온 힘을 다해서 짧은 시간에 밀어 붙쳐 오르지만,
좋지 않을 때에는 급락말고도 천천히 희망과 기대를 씹어먹듯이 장기로 움직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하락장이 되면 투자자는 '신과함께2'에 나오는 성주신처럼 "주식은 기다림이라고~"를 외칠 수 밖에 없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DsZJ/btsAmIinamH/xfUa3n15Eu7p38DAihaGP1/img.png)
오늘은 선물옵션 매매 거래 이용시 주의점에 대해 간단히 몇 가지 이야기를 해드려볼까 합니다.
약세시장에 대한 대안으로 파생시장 해외선물과 선물의 관심
약세 시장에서의 투자처로 파생 공부를 시작하는데 있어 사실 어려운 것들이 없습니다.
미지의 세계라고 생각되며 선물을 하지 말라는 말이 이래서 무서운 것입니다. 물론 옵션처럼 정말 도박 같은 것도 마찬가지구요.
따라서 파생매매를 하게 된다면 레버리지가 높고 변동성 지수가 높을수록 투자하는 금액을 줄여 매매를 하게 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고, 주식처럼 모아가는 식의 매매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투자라는 표현을 하기보다는 기술과 트레이딩이란 말을 많이 대체하여 사용합니다.
해외선물 국내선물 매매의 주의해야 할 부분
주식투자만 해보다 처음으로 해외선물 매매할 때의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 생각을 잠시 해보았습니다.
오히려 매매의 기법이나 패턴 방법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는 실용적으로 이러한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이 훨씬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수익과 손실이 나는 구조의 차이점
주식과 선물의 차이는 주식은 퍼센트로 떨어지거나 오르고, 선물은 틱당가치가 내가 진입한 포인트에서부터 몇 포인트가 위아래로 얼마만큼 움직이는가에 따라 수익과 손실이 결정됩니다.
예를들어 1,000만원을 갖고 주식투자를 한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사게 된다면 오늘 가격 기준으로 170주 정도 샀을 겁니다.
집으로 치면 114채를 사게 되는 것이고, 집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114채는 남아있게 됩니다.
집값이 어떻게 되더라도 말이죠.
선물은 현재 2,150만원으로 한 계약 매수가 가능합니다.
딸랑 2,150만원으로 11375.75짜리 집을 1개 산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2,150만원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게 되면 더 이상 보유할 수 없게 됩니다.
맞는 비유인지는 모르겠으나 주식은 집을 매수하는 개념으로 보면 되는 것이고, 선물은 전세가율 90% 이상의 집을 갭투자하기 위해 사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그리하여 선물의 경우는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진입할 때 정기적 지표발표나,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성에 대한 대비
자! 선물에 대해서 몰랐던 분이 위 설명을 보게 된다면 무슨 생각이 들까요?
주식은 5분봉에 좀 빠지면 몇 프로 빠지냐에 따라서 투자한 금액에서 빠진 퍼센트를 계산하여 손실이 계산되지만,
선물은 5분봉에 동안 몇 틱이 얼만큼 움직였는가에 따라 금액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생객해야 될 두 번째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구간을 피해서, 한번 큰 수익을 노려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IcDM/btsAjjRb1B9/LPTkeDZwmkVWx1KJfrwyjk/img.png)
크루드오일의 원유재고 발표 시간이나 골드의 비농지수발표, 지수의 금리발표 등이 가장 대표적인 경제지표 이슈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예상된 변동성이 나오는 자리라면 피하던지, 아니면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겠지만, 모든 시장이 그러하듯 갑작스레 시장이 바뀔때의 변동성은 확 변하기 때문에 큰 손실을 입게 되는 것이 초보 선물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입시에 내가 정해놓은 최대 손실구간에 스탑로스를 걸어두는 것이 생활화하시면 좋습니다.
사실, 이런 시기에 나오는 생각지도 못한 큰 손실보다는 이때 나가는 멘탈 분리에 따른 그 이후의 성급한 매매가 더 큰 위험으로 여겨집니다.
이 내용은 해외선물 매매 초보자들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해당이 되는 사항입니다.
HTS 호가 주문창 숙달 필요
저는 주식 단타를 칠 때에도 호가 주문창을 쓰기 때문에 처음 옵션이나 선물매매를 이용할 때 사실 매매하는 데는 손실이나서 문제지 이용하는 것에는 큰 문제가 없었는데, 대부분의 주식을 투자하셨떤 분들이 호가 주문창을 잘 모르시거나 활용을 잘 안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선물옵션 매매는 단타매매하듯이 한다고 생각하는것이 좋은데, 이때에는 선물 주문창이 아닌 호가 주문창을 쓰시는것이 좋습니다.
가격 변동시에 호가가 굉장히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호가주문창에서 호가고정을 해두고 매매를 해야 단기 매매를 하기에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tLYd/btsAbbzT0bn/hkBzn2wbgjU60pAh2buPkK/img.png)
호가주문에서 중요한 기능이 스탑로스와 MIT 같은 주문이 있는데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나중에 따로 다시 포스팅해드리겠습니다.
추세추종의 중요성
![](https://blog.kakaocdn.net/dn/oH55Z/btsAjneZ148/GMuHRE3kiUBPMYhKEubuVK/img.png)
주식과 선물의 차이를 본다면, 주식을 매매할 때에는 이 정도에 매수하면 3%정도는 빠지더라도 괜찮아라는 생각으로 분할매수를 하는 편이지만, 해외선물은 그런식으로 모아가는 식의 매매를 일반적인 투자자가 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조지스로스나,워런버핏 정도는 되지 않더라도 그런식으로 모아가는 매매를 하려면 상당한 투자금이 마련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선물을 매매할 때, 주식과 같은 생각으로 요 정도면 매수 한번 해볼만 한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하면서 눌림목 매수를 한다던지, 오버슈팅이라고 생각되는 구간에 예측성 매매를 하게 된다면 정말 위험한 일이지도 모릅니다. 확인된 구간이나 방향성이 이미 나왔다고 판단되는 구간에서 추세를 따라가는 형식으로 시세를 보고 대응하는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에는 주식은 만원짜리 종목이 상한가를 가려면 30%로 13,000원에 가야하며, 호가는 60호가 정도로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나스닥의 경우는 지수이므로 하루 고점과 저점으로 하여 3%정도 움직인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지수로 보면 200포인트 정도 움직인다고 보면 하루 등락의 호가는 800호가이며, 하루 500만원의 등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같은 개미ㅁ투자자들이 방향이 나올 때추종하여 만족할 수익을 먹고 나오는 매매를 하는것이 효과적이지, 아무리 저점에 잘 매수를 하여 진입했다고 치더라도 휩소의 등락폭이 개인이 느끼기엔 큰 폭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나의 매매 성향이 파악이 가장적으로 필수
짧은 시간에도 몇십만원을 벌면 만족을 하는것이 우리 개인투자자의 마음이겠지만, 이 몇십만원이 누군가에게는 큰 돈이 될 수도있고, 또 누군가에게는 작은 돈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마지막에 해외선물 매매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자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는 알아야 합니다.
이는 주식에서도 마찬가지 내용이겠지만 선물은 두리뭉실 접근하기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내가 짧게 여러 번 먹는 것을 좋아하는지, 한 방에 크게 먹는것을 좋아하는지에서부터, 내가 박스권 돌파를 좋아하는지, 하락하는 것을 잘 맞추는지 등등의 나의 매매 성향의 파악이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런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고 매매를 할 경우 화장실을 간 것인지, 볼 일을 보러 간 건지, 휴대폰을 보러 간 건지 모르게 되면 나올 때를 제대로 정하지 못하여 손실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모든 투자라는 것이 수익을 보면 더 못 낸 것이 아쉽게 느껴지고, 손실나면 그때 나왔어야 하는 후회심이 드는 생각이 들게 마련입니다.
오늘은 초보투자자분들이 매매에 있어서 주의할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이상 해외선물정프로였습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기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선과 저항선 (0) | 2023.11.16 |
---|---|
해외선물 파동의 원리 (0) | 2023.11.15 |
해외선물 경제지표 이해하기 (0) | 2023.11.13 |
해외선물거래 매수와 매도의 개념 (0) | 2023.11.10 |
해외선물과 주식 투자의 차이점 비교해보기 (1)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