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경제용어 리밸런싱과, MSC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벨런싱(Re-Balancing)이란
포트폴리안에있는 자산들의 비중을 조절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처음 의도했었던 자산들의 비중 또는 리스크 범위를 맞추기 위해 자산을 주기적으로 사고 팔게 됩니다. 즉 리벨런싱이란 서로 다른 종목을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비율 변화가 있을 경우 다시 재조정해주는 작업을 이야기합니다.
쉽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2021년의 제 자산의 최초 투자 비율은
금 30, 주식 50, 채권 10, 원자재 10 = 총 100이라 가정하고
이 상태에서 10년의 시간이 지납니다.
4개의 투자대상이 모두 등락을 반복할 것입니다.
그러면 어떤 것은 떨어질 것이고, 또 어떤것은 오르고를 반복할 것입니다.
그 결과 금20, 주식 60, 채권 8, 원자재 12 = 총 100

이렇게 기존에 21년도에투자하였던 자산의 비율이 시간이 지나면서
투자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틀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리벨런싱의 목적
리밸런싱의 목적은 계좌의 위험도를 줄이는 목적입니다.
리밸런싱은 추세전환될 시를 대비 하는 보편적인 방법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혹시나 갑작스러운 경제위기 등으로 인해 시장에 충격이 크게 다가왔을때
그에 따른 충격을 잘 흡수하기 위함입니다.
또 어떤것은 시간이 지나서 올라있을 것이고, 그렇다면 그것을 수익실현하고, 그 수익으로 인해 떨어진 다른 자산을
메꾸어 줌으로써 저가로 매수하게 되는 선순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리벨런싱으로 인한 내 자산가치가 올랐을 때, 그 상승분을 매도해서 채권을 안전하게 넣어두면 저절로 수익실현이 됩니다.
역으로 내 자산가치가 많이 떨어졌다면, 채권을 일부 팔아서 내가 갖고 있는 평가물에 물을 타기 시작하는 것이죠.

금리가 낮은 채권이나 예금등에만 자산을 계속 넣어두면 시간이 지나도 불어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니 매력이 없습니다.
전체 자산을 주식으로만 투자하면, 너무 등락폭이 크다보니 잃고 오르고 하는 변동성에만 에너지를 많이 쓰게 됩니다.
따라서, 먼저 자산배분을 통해 자산을 적절한 비율로 구분하고,
리밸런싱을 통해 한번더 잡아주면,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첫걸음 떼게 되는것입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 이해하기 (1) | 2023.12.06 |
---|---|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1) | 2023.12.05 |
트리클다운 (trickle down) (0) | 2023.10.20 |
바그너의 법칙(Wagner's Law) (0) | 2023.10.16 |
HHI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허핀달-허쉬만 지수)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