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 국가별 경제 불황기에는 여러방면으로부양정책들을 쏟아내기 위한 노력들을 가하고 있습니다.
그 중 금리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하였을 때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양적완화라 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라는 것은 화폐를 풀어 통화가치의 하락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미국에서 양적완화를 시행한다면 기축통화인 달러의 하락을 나타내고 달러와 디커플링인 금(Gold)의 상승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양적완화는 장기적인 정책이므로 장기추세파악에 큰 도움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Quartitative Easing)란 무엇일까?
중앙은행의 정책으로 금리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봉착하였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매입 등을 통하여 통화 유동성을 시중으로 직접 푸는 정책면을 뜻하게 됩니다. 금리 중시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중앙은행이 정책금리가 0%에 근접하게 되거나, 혹은 다른 이유로 시장경제의 흐름을 정책금리로 제어할 수 없는 이른바 유동성 저하 상황ㅇ에서는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을 하게 되므로써 중앙은행의 거래량을 확대하는 정책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채권이나 다른자산을 사는것과 동시에, 이율을 지속적으로 낮추지 않고도 돈의 흐름을 늘리게 됩니다.
양적완화는 금융시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때, 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직접 공급하영 금융시장 안정을 시키기 위한 국가정책이라 볼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라는 용어는 세계금융위기 이후 사실상 미국이 제로금리 시대에 변칙적인 경기부양책을 고민하다 잃어버린 10년을 먼저 겪은 일본의 경우를 벤치마킹하여 들어온 용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미국, 일본, 유럽의 양적완화에 대한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첫 양적완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의 양적완화
1차 양적완화(QE1) / 국채와 모기지채권매입 1조 7,500억
- 2008년 11월 25일 연준이사회(FRB)는 1,000억 달러 규모의 정부보증 모기지채권(GSE direct obigations)과 5,000억 달러규모의 모기지유동증권(MBS)을 매입하고 TALF라는 새로운 대출에 2,000억달러를 투입한다고 발표.
- 2008년 12월 16일 선언문 통환 연방기금금리를 종전 1,00%에서 0~0.25%로 낮추고, 국채와 모기지채권을 대규모로 매입해 통화공급량 자체를 늘리는 '양적완화'로의 전환을 공식 선언
-2009년 1월 28일 연준이사회(FRB)는 장기채매입을 통한 양적완화 정책을 본격추진한다고 발표
-2009년 3월 18일 연준(FOMC)은 6개월 동안 3,000억달러 규모의 장기국채를 직접 매입하겠다 발표.
결국 1차 양적완화는 2010년 1분기에 끝났으며 총 1조 7,500억달러가 투입됨
2차 양적완화(QE2) / 국채매입 6,000달러
2010년 11월 3일 연준(FOMC) 회의에서 6개월 6천억달러 규모의 추가양적완화(QE2)를 시행한다 발표.
2차 양적완화는 2011년 6월 30일 종료.
3차 양적완화(QE3) / 국채와 모기채권 매입 1조 2,800억원
2012년 9월 13일 연준(FOMC)은 매달 400억 달러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이기로 결정. 아울러 2014년 말로 예정된 초저금리 기조도 2015년 중반까지 6개월 연장.
2012년 12월 13일 연준(FOMC)는 매달 450억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를 추가로 사들여 매달 채권 매입 규모를 850억달러로 확대하기로 결정.
4차 양적완화(QE4) / 무제한 양적완화
코로나19 이후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는 사상 초유로 무제한 양적완화를 하기로 발표
양적완화의 한도를 정해놓았던 기존하고는 크게 다른 점으로 볼 수 있음.

2. 일본의 양적완화
엔화를 무작정 푸는 것이 아베노믹스의 핵심적인 정책이라 볼 수 있으며, 이 말은 일본이 엔화를 그대로 찍어 시중에 푼다는 것이 아니라 양적완화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여 경기를 다시 살리고 또 엔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은 말합니다. 시중에 돈을 풀기 위해 일본은행이 자국정부가 발행한 국채나 민간 채권을 닥치는대로 매입을 하는 것입니다.
이미 일본은 중앙은행이 조작할 금리가 있지 않아(제로금리) 결국 쓸 방책은 양적완화 밖에 없었던 셈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되면 시중에 엔화가 넘쳐나므로 유동성이 높아지게 되고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며 세계시장에서 일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올라가게 되어 수출이 더욱 늘어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아베노믹스는 이런 유동성과 인위적인 엔저현상(*엔화가치가 떨어지는현상)을 통해서 투자, 소비를 유도하여 국내 경기를 살리고 일본 기업의 수출을 증대시켜 경기를 활성하는 정책이라 볼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를 시행한 일본은 현재까지도 디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낮은 물가 성장률과 낮은 경제성장률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유럽의 양적완화

한국의 첫 양적완화
한국은행이 2020년 3월 26일 코로나19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고 실물경제 악영화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사에 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국은 금융기관의 한매조건부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양적완화를 진행했습니다.
이런쪽으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불러오게 됩니다.
한국은행이 채권매입 > 시중에 현금증가 > 이자하락 > 기업(개인)은 대출금으로 고용안전 및 투자 > 소비확대 > 경제회복 = 궁극적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키려는 노력이 보이고 있습니다.
테이퍼링(Tapering)이란?
언제까지나 국가가 시중에 돈을 무한정으로 자금을 공급해줄 수는 없습니다. 시중에 돈이 너무나도 많이 풀리게 될 경우 돈의 가치가 하락해버리기 때문에 양적완화의 대한 정책을 멈추고 돈을 서서히 거둬들이면서 다시 돈이라는 가치를 회복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정책을 '테이퍼링'이라고 합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양적완화에 대한 해결책으로, 2013년 연준 버냉키 의장이 언급하였던 전략이였습니다.
서이추환영 합니다 서로이웃 환영합니다.~! 어

서오세요! 반갑습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펜재(Giffen's Goods)에 대해 알아보기 (2) | 2023.12.07 |
---|---|
FOMC 이해하기 (1) | 2023.12.06 |
리밸런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04 |
트리클다운 (trickle down) (0) | 2023.10.20 |
바그너의 법칙(Wagner's Law)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