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4일 목요일>
2월 소비자물가(CPI)에 이어 생산자물가(PPI)도 예상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국채 금리가 폭등하면서 증시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높은 금리에도 강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빅테크들은 잘 버텼습니다. 그런데 엔비디아와 테슬라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아침 8시 30분에 중요한 세 가지 데이터가 한꺼번에 발표됐습니다.
① 또 뜨겁게 나온 물가
2월 PPI는 헤드라인 수치는 전월 대비 0.6%나 오른 것으로 발표됐습니다. 월가 예상이나 1월 수치는 0.3% 상승이었는데 두 배 높게 나온 것이죠. 1년 전보다는 1.6% 상승해 작년 9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아침 8시 30분에 중요한 세 가지 데이터가 한꺼번에 발표됐습니다.
① 또 뜨겁게 나온 물가
2월 PPI는 헤드라인 수치는 전월 대비 0.6%나 오른 것으로 발표됐습니다. 월가 예상이나 1월 수치는 0.3% 상승이었는데 두 배 높게 나온 것이죠. 1년 전보다는 1.6% 상승해 작년 9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ubu3/btsFLVFG18h/ZfcDF5TMEHSXjlZ5ncI5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EkbOk/btsFNaa1r9K/4fgTbHRKdYJNZrSH9Ofqd1/img.jpg)
리처드 번스타인 리서치는 "PPI는 8개월 전에 바닥을 치고 오르고 있다. 월가 콘센서스는 인플레이션이 꺾였고 Fed가 금리를 내릴 것을 여전히 보고 있지만, 올해 여러 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예상은 잊어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월가가 PPI를 주목한 이유 중 하나는 미 중앙은행(Fed)의 물가 척도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를 추정하려는 것입니다. PPI의 헬스케어 서비스, 투자 서비스 등이 PCE 계산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 바클레이스 등은 오는 29일 발표될 2월 근원 PCE 물가가 전월 대비 0.3%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골드만은 CPI가 나온 뒤 0.27% 올랐을 것으로 봤다가 오늘 PPI 발표 이후 0.29% 증가로 추정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반올림하면 여전히 0.3%이지만 높아진 건 높아진 것이죠.
이는 Fed의 금리 인하 기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의 Fed 워치 시장에서는 6월 금리 인하에 대한 베팅이 전날 65%에서 63%로 소폭 낮아졌습니다. 일주일 전에는 75%였지요.
에버코어 ISI는 "우리는 2월 근원 PCE가 0.30% 올랐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Fed가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계속 둔화하고 있음을 확신하기 위해 보고 싶어 하는 0.2% 이하보다는 높지만 1월 0.42%에 비해선 상당히 내려가는 것이다. 디스인플레이션 이야기는 근본적으로 궤도에 남아 있다. 우리는 여전히 6월 첫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 노동시장이 완화하고 있다는 징후를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라고 밝혔습니다.
② 예상보다 덜 좋은 소매판매
2월 소매판매는 예상보다 좋지 않았습니다. 지난 1월 악천후로 0.8% 감소했었기 때문에 월가는 2월에 0.8% 반등할 것으로 기대했는데요. 1월 수치는 -1.1%로 하향 수정됐고 2월에는 0.6%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6% 증가는 작년 9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긴 합니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 증가(예상 0.4%)했고요. 국내총생산(GDP)을 계산하는 데 쓰이는 소위 콘트롤그룹(외식 서비스, 휘발유, 자동차, 건축자재 제외) 데이터는 2월 0%를 기록했습니다. 2월 소매판매 성장이 자동차(1.6%), 건축자재(2.2%), 휘발유(0.9%) 중심으로 나타난 데 따른 것입니다. 다만 13개 카테고리 중 9개가 매출 증가를 보고해 1월보다는 판매 증가세가 광범위했음을 보여줬습니다. 소비가 여전히 견고하지만, 월가가 기대하는 것만큼은 강하지 않았다는 얘기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Gbqma/btsFPfa5MBo/Q1K0K0gkmulGw4D5juuw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3dsj/btsFLS3c7kj/KvTrYmtp7759jCsYnx0VN0/img.jpg)
③ 확 줄어든 실업급여 청구?
주간 신규 실업급여 청구 건수는 20만9000개로 예상인 21만8000개를 살짝 밑돌았습니다. 월가 관심은 2주 이상 청구한 지속 청구 건수에 쏠렸는데요. 최근 계속 늘어나면서 지지난 주 190만 건을 넘었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계절 조정 방법이 업데이트되며 지지난 주 지속 청구 건수가 기존 발표보다 11만2000개 감소한 179만4000건으로 하향 수정됐고요. 지난주 지속 청구 건수는 거기서 1만7000건 증가한 181만1000건으로 발표됐습니다. 노이즈가 큰 것인데요. 어쨌든 통계만 보면 여전히 미국 노동시장은 강한 것이죠.
![](https://blog.kakaocdn.net/dn/cY8uRa/btsFMQcNGnf/g0NN2LEsG83JOlQhWodHkK/img.jpg)
정리하면 물가는 높고 소매판매는 예상보다는 부드러웠으며, 노동시장은 여전히 탄탄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죠. 골드만삭스는 데이터들이 나온 뒤 1분기 GDP 증가율 추정치를 기존 2.2%에서 1.7%로 낮췄습니다. 애틀랜타 연방은행의 GDP나우도 기존 2.5%를 2.3%로 하향 조정했고요.
![](https://blog.kakaocdn.net/dn/ekASwm/btsFN4IaMs3/z9e4abx7q3Gv9GR39ikF0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buZN/btsFNaB4Eib/p4yAD49mmNUFd0ijNODPl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7Bh1/btsFNxjtO53/aZmrOkxnnAh1aPDdA9WO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hlI0/btsFOm2OfWG/WCss6RMXBHoDRMzo5BE4b1/img.jpg)
유가도 오르면서 인플레이션 불안 심리를 부추겼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미국의 경제 전망 개선 등을 이유로 올해 원유 수요 전망을 하루 11만 배럴 높인 130만 배럴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또 OPEC+의 감산 유지로 인해 글로벌 공급 전망도 하향 조정했고요. 어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유공장 공격으로 폭등했던 국제 유가는 급등세를 이어갔습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1.93% 오른 배럴당 81.26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틀간 4.77%나 급등하면서 지난해 11월 2일 이후 최고치까지 올라갔습니다.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0.1~0.2% 강보합세로 출발했지만, 금리가 계속 상승하자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결국, 다우는 0.35%, S&P500 지수는 0.29% 내렸고 나스닥은 0.30% 떨어진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Dv4H/btsFMLvKW5B/ySn8kixYkYHiFQeBPfVvuK/img.jpg)
강세론자인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 설립자는 "2022년 10월 주가가 바닥을 쳤을 때 미국개인투자자협회(AAII)의 낙관/비관론 비율(Bull/Bear Ratio, BBR)은 0.57까지 떨어져 바닥을 쳤다. 금융위기 이후 최저였다. 우리는 낙관적으로 전환했다. S&P500 지수는 저점 대비 44% 올랐다. 당연히 모든 사람이 낙관적으로 변했다. BBR은 지난주 4.20까지 급등해 2017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모든 사람이 낙관론자로 바뀌었다면 더는 비관론에서 낙관론으로 전환해 매수에 가담할 투자자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3.0을 초과하는 BBR은 매도 신호로 작동하지만, 1.0 미만의 BBR이 역발상 매수 신호로 작동하는 것보다는 정확성이 떨어진다. 우리는 다음주 열리는 엔비디아 GTC 콘퍼런스를 지켜볼 것이다. 시장은 잠시 상승했다가 뉴스에 이어진 차익실현으로 인해 하락할 수 있다. 그러면 다시 BBR이 다시 높아질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올해 말 5400 목표를 유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64iv/btsFNvMKXXK/D1atzCKC7TQfs9iKvfpty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IbaS/btsFLV6ISVU/npOMVdARDotAGn9y2DOCs1/img.jpg)
AI 붐의 지속 여부는 18일 열리는 엔비디아의 GTC 콘퍼런스에 달려 있는 듯 합니다. 스폿감마는 "엔비디아 강세론자들은 18일 이벤트를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이는 옵션 스큐(SKEW)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강세 베팅은 100분위로 따져 99분위에 달할 정도로 강하다. 이는 주가가 올해 들어 90%나 올랐음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요점은 엔비디아가 18일 부활에 성공하면 반도체 주식 전반에 걸쳐 추격 매수가 촉발될 수 있다. 하지만 엔비디아가 새로운 재료를 제공하지 못하면 콜옵션에 치우친 상태가 해소될 수 있고, 이는 장기적 조정을 의미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분석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vU8Mr/btsFNbOwMBV/rkKJ9VgktPUlnBH6lvMuKk/img.jpg)
⑴ 차량 판매 성장 재가속은 저렴한(2만5000달러~) 모델 2에 달려 있지만, 이는 중국 시장에선 늦은 시장 진입이 될 것이다. 모델 2는 유럽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지만, 모델 2가 나올 때쯤이 되면 모델 3가 출시됐던 때보다 훨씬 더 시장은 경쟁적일 것이다. 미국 시장은 그보다는 경쟁적이진 않겠지만 모델 Y처럼 세그먼트 시장이 크지 않다. 동남아시아 등 기타 지역에서는 유망하다. 새로운 제조법은 저비용을 의미하지만, 새로운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초기 생산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도 있다.
⑵ 의미 있는 마진 재가속은 완전자율주행(FSD)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테슬라가 더 많은 채택을 위해, 특히 저가형 모델 2에서 채택률을 높이기 위해선 FSD 가격을 낮춰야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⑶ 중국 위험
⑷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 외부에서 AI/로봇공학 기능을 개발할 가능성. 머스크에 대한 새로운 보상 패키지 결의는 긍정적 촉매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바이사이드(자산운용사)와 얘기해보면 그런 보상에 대한 감정은 매우 좋지 않다.
UBS는 "단기적으로는 실적과 주가에 대해 신중한 태도와 '중립' 투자등급을 유지한다. 전기차에 대한 심리가 개선될 단기 촉매제를 보기는 어렵지만,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투자자들이 테슬라를 찾을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밝혔습니다.
빅테크를 제외한 대부분 주식은 하락했습니다. S&P500 11개 업종 가운데 오른 업종은 에너지(1.1%) 커뮤니케이션 서비스(0.55%) 두 개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부동산(-1.61%) 유틸리티(-0.81%) 등 금리에 취약한 주식들은 폭락세를 보였습니다. 러셀2000 지수가 1.96%나 급락하는 등 소형주도 비틀거렸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DT0s/btsFMPStdw2/VkRYpRaBYjuTOA5kYeeYg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9CBU/btsFNcfygiq/KRCsUa2FR3a5nbkHc6Z3gk/img.jpg)
"30년간의 횡보장 이후 일본 주식은 최근 강세를 보인다. 닛케이 225 지수는 1989년 이후 처음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끝낼 것인지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엔화 강세를 의미한다는 게 컨센서스다. 실제 엔화는 10년 평균보다 2표준편차 낮은 수준으로 매우 저렴하다. 중요한 점은 엔화의 점진적 강세가 일본의 주가 상승 추세를 반드시 무너뜨리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엔화 강세로 인해 일본 수출업체의 경쟁적 지위가 약화하고 매출이 약화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 통화는 해당 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본 주식과 엔화 간의 상관관계는 최근 크게 약화하였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2007~2019년 엔화와 닛케이 225 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평균 -0.6으로 유의미했다. 엔화가 약화하면 주식이 상승하고 강해지면 주식이 내렸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런 관계는 2021년 이후 -0.1로 상당히 약해졌다. 일본 주식에 대한 열광은 일반적인 엔화 약세가 미치는 영향보다 훨씬 더 커졌다. 기업 지배구조 개혁 및 자본 흐름 변화와 결합한 일본 명목 성장의 긍정적 변화는 이러한 열정을 정당화한다. 일본 기업 이익은 올해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주가수익비율(P/E)은 15배(15년 평균 수준)에 불과하다. 투자자들이 일부 주식에 집중된 미국 증시 상승에 의문을 제기하는 가운데 일본은 분산투자를 위한 좋은 소스를 제공한다."
![](https://blog.kakaocdn.net/dn/n3md3/btsFN662Pib/F72OO1lvDkC8WK4VtizLPK/img.jpg)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해외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GTC 약발 없나…"금리 4.5% 넘으면 조정" (0) | 2024.03.19 |
---|---|
점도표 불안, 두 번만 인하?…나흘째 오른 금리 (0) | 2024.03.18 |
웰스파고의 저주 "테슬라 44달러 될 수도" (0) | 2024.03.14 |
CPI 높지만 높지 않았다?…물가보다 중요했던 오라클 (0) | 2024.03.13 |
엔비디아 18일 부활한다?…투자자 45% "CPI, 나쁠 것"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