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자료/해외선물 경제상식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에게 미치는 영향

해외선물 전문 정프로 2024. 4. 25. 11:53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어떤 영향을 있는지에 대해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게 된다면 우리나라는 국가의 경제적 재난이나 어려움 사태에 빠지게 됩니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 투자자 중에는 개인투자자도 있고 기관투자자도 있을 것이고 외국인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높아지게 된다면 달러가치도 상승됨으로써 우리나라에 투자한 외국 투자자들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결국엔 자신들에게 투자성에 대한 이익을 더 챙겨가기 위함으로 투자금의 수익성이 높은 미국으로 가려고 할 것입니다.

미국은 기초통화국이기 때문에 통화량을 아무리 늘려도 외환위기를 겪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은 통화량을 늘려 자기네나라의 돈을 풀게 되어, 금리 인상이라는 조치를 취했을 때 멀리 나가있는 달러들을 다시 본국으로 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나 신흥국들은 미국과 같은 입장이 될 수가 없습니다.

결국엔 외화가 급격하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경제가 어려움 속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를 인상시켜 외화를 빠져나가는 것에 대한 조치를 취하려고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자산 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시중은행들은 부채를 상환하기 위하여 금리를 같이 인상시키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이 먹히지 않는다면 자국 내 외화가 빠져나가게 되고 주식과 부동산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은행들의 부채 상환이 늘어나게 되고 결국엔 외국자본에게 빌린 부채를 갚지 못하게 되어 외환위기를 겪는 악순환 위기에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신흥국과 개발 도상국가들은 외화보유고를 항상 적정치를 유지하는 이유입니다. 만약 외화 보유고를 유지하지 않게 된다면 우리나라가 겪어봤던 97년도 IMF로 회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나리오입니다.

그 이후에는 미국은 외환위기를 맞은 신흥국 또는 개발도상국의 하락된 자산들을 싼값에 매입을 하기 시작할 테고 싼값에 산 자산을 나중에 비싸게 되었을 때 팔아 자신들의 안정적인 수입을 가지고 살아가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3대 시중은행의 외국인 주식 비율이 60% 이상 됩니다.

이들은 현재 시가 배당률이 6% 정도이지만 이들은 그들의 매입단가가 워낙 낮아서 배당률이 10%대를 넘어가게 되어 있어 우리나라의 은행은 안정적인 수입원으로 전락하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그나마) 금감원은 은행권의 배당을 많이 주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바탕에서 나온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