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단기파동, 키친파동과
중기파동, 주글라파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친파동이란
우선, 단기 변동 주기의 대표적인 이론인 키친파동이란(Kitchin Cycle), 1923년 영국의 조세프 키친(Joseph Kitchin)이 논문에서 주글라파동 및 콘트라티에프파동 이외에 40개월 한 주기로 하는 단기파동이 존재함을 증명한 것에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키친파동이 발표되던 해에 W.L. 크럼도 같은 주기의 단기파동을 발견하여 키친-크럼의 파동이라고도 불리지만
키친 쪽의 증명이 더 우수한 까닭에, 40개월 순환의 단기파동에 대해서는 키친파동이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키친이 발표한 키친파동은 1890년을 기점으로 1922년까지 미국과 영국의 어음교환액 · 도매물가 · 이자율 변동을 기초로, 이론적이고, 이상적인 순환기로 40개월이라는 점을 밝혀냈고,
일반적으로, 10년 주기의 주글라파동을 주 순환(Major Cycle)이라고 정리하고, 키친파동은, 소 순환(Minor Cycle)이라고 정리되어 이들을 합쳐서 미국순환(American Cycle)이라고도 합니다.

주 순환이 설비투자의 변동을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반해서, 키친 파동이 설명하는 소순환은, 시장의 예상과 현실에서 발생하는 매출의 불일치에서 오는 재고투자의 순환적 변동에 의해서 경기변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J. 슘페터는 2개~3개의 단기파동인 키친사이클의 조합에 의해서 중기파동인 주글라사이클이 이루게 된다는 복합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주글라파동이란

단기파동인 키친사이클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중기파동인 주글라파동(Juglar's Waves), 주로 기업의 설비투자 변동으로 8~10년 주기로 발생하는 경기의 중기파동을 일컫는 말로써,
프랑스의 경제학자 주글라 혹은 쥐글라르(Joseph Clement Juglar)가 미국 · 영국 · 프랑스의 주기적인 경기침체를 규명하기 위해서, 1803년~1882년 사이의 가격 · 이자율 · 금 가격 · 중앙은행 잔고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주기에 걸쳐서 호황 → 침체 → 파산의 3단계 현상이 박복되는 것을 발견한 후,
1862년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고용, 소득, 생산량이 대폭적인 파상운동을 하고, 그 파동의 모든 단계는 그 전단계로부터 차례차례로 나타난'고 밝힌 것을 말합니다.

주글라파동이 발표되기 이전에는 경제현상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공황을 단독국면으로 인식했던 것에 반해서 주글라파동은, 공황 역시 경기순환의 한 국면에 불과하다는 점을 증명했따는 점과 은행의 대출 · 금리 · 물가에서 물결모양과 같은 파상운동을 검출하여 8~10년을 중심으로 하는 주기를 가진 파동을 명확하게 밝힘으로 인해 큰 주목을 받았고 주글라파동은 경기의 주 순환(Major Cycles)으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그플레이션 개념 이해하기 (0) | 2023.12.21 |
---|---|
긴축발작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3.12.20 |
콘트라티에프파동 / 쿠즈네츠파동에 대한 설명 (2) | 2023.12.18 |
경기침체를 알리는 더블딥 뜻 이해하기 (0) | 2023.12.15 |
비둘기파, 매파, 올빼미파의 뜻 알아보기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