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자료/해외선물 경제상식

긴축발작에 대해 알아보기

해외선물 전문 정프로 2023. 12. 20. 11:45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1. 긴축발작이란?

- 긴축발작이란 Taper tantrum이란 스포츠 의학용어에서 왔습니다. 운동선수가 큰 대회를 앞두고 컨디션 조절을 위해 운동량을 줄일 때 안절부절 못한채 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보고 'taper tantrum'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말로 번역을 할 경우 '축소저항 짜증?'쯤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긴축발작은 2013년 미국의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장이 자산맹비 축소(테이퍼링)을 시사하자 미국의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가 급락한 현상을 말합니다. 즉 펀더멘탈이 취약한 신흥국에서 해외자본 유철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당시 테이퍼링 소식이 전해지면서 글로벌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요, 2013년 5월 1일 기준 미국의 10년물 국고채 금리는 1.63%에서 같은 해 6월 28일 2.49%로 86bp 상승했습니다.

또한 한국의 10년물 국고채 금리도 5월 2일 기준 2.73%에서 6월 28일 3.40%로 67bp 올랐습니다.

2. 긴축발작이 발생하는 이유는?

 

 

- 국채금리가 상승할 경우 이자수익이 올라갑니다. 돈을 들고 있는 투자자들은 자연스럽게 금리가 높은 곳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외국인들은 양적완화로 인해 제로금리로 돈을 빌렸습니다. 그리고 그 돈을 해외 국가, 특히 경제성장 속도가 빠른 신흥국가에 투자를 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금리를 꾸준히 올리고 있어 신흥국에 투자했던 외국인들이 돈을 빼내 금리가 더 높은 미국 채권시장에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즉 외화 유출로 인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거지요.

3. 긴축발작에 대한 대책강구

 

 

- 미국 양적완화 규제, 금리인상등에 나서게 된다면 우리나라는 경기회복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이 경기개선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미국에 수출을 더욱 확대하는 방식으로 대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울러서 외환시장도 급격한 요동을 칠것으로 예상되므로 정부에서는 통화스와프나 통화정책 등을 동원하여 안전장치를 강화해 나감으로써 금융시장 참여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