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은 더욱더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임을 알리는 단어를 뜻하며, 불경기(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라 할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디플레이션과는 또다른 개념입니다. 물론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라고 하여 인플레이션의 일환으로 해석을 하기도 하지만 역시 일반적인 인플레이션과는 다르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 해석이라고 볼 수 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은 총공급 감소로 인한 효과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더욱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요인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요인을 대표적으로 볼 때 국제 원유 가격 등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를 때 일어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수입 물가가 오르면 기업들이 이익이 줄어들고, 손해를 보지 않으려고 제품 값을 높이게 됩니다. 그렇지만 가격이 올라가면 소비자들은 수요를 줄이게 되므로 결국 장기침체와 더불어 실업증가로 연결되는 현상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 발생사례 - 미국, 영국
역사적으로 보면 대표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의 사레로 손꼽히는 내용을 살펴보면 중동전쟁으로 유가가 치솟게 되면서 일어난 1973년의 세계적인 불황인 시기가 있었는데, 그때 당시 유가는 73년 10월부터 불과 넉달 사이에 무려 4배나 올랐습니다.
이처럼 급격하게 유가가 치솟자 각종 제품 값도 덩달아 올랐으며, 채산성이 악화된 기업들의 도산이 줄을 이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었으며, 물가까지 오르게 되자 더욱 힘든 생활을 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79년 2차 석유 파동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을 이겨낸 미국과 영국입니다. 당시의 미국 레이건 대통령과 영국의 대처 총리는 정부지출을 줄이고 시장의 돈줄을 죄는 강력한 긴축정책을 펼쳤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문을 닫고 실업자가 늘어나게 되더라도 일단 물가를 잡아야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죠.
미국과 영국은 이와 함께 세금을 깍는 방법으로 기업들의 생산과 투자를 부추니느 방법을 제기하였으며,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세금을 적게 내는 만큼 소비를 늘렸습니다.
이 때문에 레이건 대통령과 대처 총리는 부자와 빈곤층의 소득 격차를 더 벌였다는 비난도 받고 있지만, 미국과 영국은 스태그플레이션을 겪는 동안 경제의 체질을 강화시켜 오늘날 몰라보게 건강한 경제를 갖게 만들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 대한민국
2011년 후반 우리나라도 스태그플레이션의 징후를 보였습니다. 경제성장률은 3%대에 머무는데 물가상승률은 매월 4%를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그 때 당시 우리나라는 경기를 살리려는 성장위주의 정책을 취했기 때문에 무락가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아 물가가 더욱 크게 올라 서민들의 고통이 컸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유가 등 수입무락가 오르는 것은 단기간 고생으로 그치지만 인플레 기대심리로 임금과 땅값 등 기업들의 생산비용이 높아질 경우에 그에 대한 후유증이 오래갈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물가가 오르면 부동산 투자가 최고라는 인식이 남아있어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성이 높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현재

현재를 볼 경우 인플레이션은 쑥 올라가고~ 고용면에서는 뚝 떨어지는 현상이 다시또 벌어지고 있어, 스태그플레이션이 다시 찾아오는건 아닌지에 대한 모든이들이 공포심이 있습니다.
만약 스태그플레이션이 재차 일어날 경우 과거의 경험적인 바탕을 배경을 하여도 여전히 매우 풀기 어려운 난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한 개인 또는 단체 혹은 집단에 의해서 이뤄질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경제는 불황이 지속되는데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날 경우 기업도산과 대량실업 등 경제공황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계 각국 정부들은 우리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밝혔지만 불상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이 꼭 필요한 시점으로 보이는 바입니다.
'해외선물 자료 > 해외선물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가치를 평가하는 스타벅스지수 (2) | 2023.12.26 |
---|---|
빅맥지수 (1) | 2023.12.22 |
긴축발작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3.12.20 |
키친파동과 주글라파동 (0) | 2023.12.19 |
콘트라티에프파동 / 쿠즈네츠파동에 대한 설명 (2)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