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자료 234

스프레드(Spread)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스프레드란(Spread) 란 무엇인가? 스프레드란? 동일한 품목 내에서 만기가 다른 두 선물 계약에 대하여 각각 매수와 매도포지션을 동시에 취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두 선물가격의 움직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윤을 획득하려는 전략 ​ 1. 수평스프레드 만기가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옵션에 대해 매수·매도가 동시에 취해지는 경우 ​ 2. 수직 스프레드 행사가격이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옵션에 대해 매수 매도가 동시에 취해지는 경우 ​ 3. 대각 스프레드 만기와 행사가격 모두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옵션을 갖고 스프레드 포지션을 구축하는 경우 ​ ​ 옵션투자전략 중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이 스프레드 전략입니다. 이는 만기·종류·행사가격 등이 서로 다른 두개의 옵션을 이..

VIX 지수 (변동성지수, 공포지수) 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 오늘은 왜 VIX지수를 공포지수로 불리는지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그렇다면 공포지수(FEAR INDEX)로 불리는 빅스 지수에 대해서 아래 3가지 순서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VIX 공포지수의 정의 VIX 지수의 정의를 알고자하면 이걸 만든 CBOE거래소의 가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의 정의는 같습니다. The VIX Index ia a calculation designed to produce a measure of constant, 30-day expected volatility of the U.S. stock market, derived from real-time, mid-quote prices of S&P 500 Index (SPX)..

선물차익거래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 입니다. 오늘은 선물 차익거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 선물차익거래 의미 선물차익거래는 선물거래와 현물거래가 동시에(반대반향으로) 이뤄지게 되는데요, 여기서 차익이란 '차익거래 당시의 선물가격(시장선물가격)과 '이론선물가격' 간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지, 시장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을 비교하는 것이 아닙니다. 차익거래 여부의 기준이 되는 고평가·저평가는 시장선물가격과 이론선물가격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 차익거래 당시의 시장선물가격 > 이론선물가격 → 선물가격 고평가, 따라서 선물매도와 동시에 현물매수 ​ # 차익거래 당시의 시장선물가격 < 이론선물가격 → 선물가격 저평가, 따라서 선물매수와 동시에 현물매도 ​ 1. 선물가격은 통상 현물가격에 장래에 발생할 보유비용을 포..

베이시스에 대해 알아보기 (콘탱고, 백워데이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해외선물을 거래하면서 들어봤을 법한 금융용어인 베이시스와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베이시스(BASIS) 선물가격에서 현물가격의 차액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베이시스가 양수(+)이면 플러스베이시스라고 하고 시장에선 콘탱고가 불리고, 음수(-)이면 마이너스베이시스라 하며 시장에선 백워데이션이라 칭하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어머니(기초자산)인 KOSPI 200 지수가 오르면 선물지수도 같이 오르고, 내리면 같이 내립니다. 그러나 두 지수는 똑같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고, 선물지수는 4개의 종목이 거래되지만, KOSPI 200 지수의 200개 종목은 각기 따로 움직입니다. 시장에서 가장 이상적인 거래형태는 현물과 선물이 똑같이 움직여서 양자간의 갭이..

인플레이션과 주가지수의 관계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 오늘은 경제에 대한 이야기 인플레이션과 주가지수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볼까 합니다. 경제의 경자도 모르는 사람이 쓰는 글이기에 흘려듣거나 언짢으시면 뒤페이지로 돌아가기 하셔도 무관합니다. ​ 보통 인플레이션이란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공급은 제한적이고 수요가 증가할 때 일어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단순하게 통화팽창을 하여서 보통 일어나지 않습니다.왜냐면 금리가 낮게 되니 모든 사람들이 대출을 받지 않기 때문이죠. 오늘 날의 한국 가계부채가 증가한 원인은 많은 가계가 집을 사기 때무닝며, 집을 구매하는 이유는 전세난, 아파트값 상승 등 가격이 상승하는 자산을 보면서 서둘러야 하는 심리를 만들기 때문이죠. 이런식으로 인플레이션은 구매욕을 부르는 역할을 하고 있..

개별주식선물과 개별주식옵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개별주식선물과 개별주식옵션에 대하여 말씀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별주식 선물'과 '개별주식 옵션'을 이용하면 개인투자자들도 무위험거래와 공매도 전략이 가능합니다. ​ 개별 주식 선물과 개별주식 옵션은 죽자지수 선물 및 주가지수 옵션과 매우 비슷합니다. 코스피 200과 스타지수 선물 · 옵션은 코스피200과 스타지수라는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상품이지만, 개별주식 선물· 옵션은 삼성전자나 SK텔레콤 등 개별종목을 선물 · 옵션거래의 대상으로 하는 상품으로서, 만기일의 결제방식은 차익을 수수하는 현금결제가 아니라, 현금과 주식을 주고 받는 실물 인수도 방식을 적용합니다. ​ 개별주식 선물 · 옵션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투자효과로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해외선물 헤지거래의 뜻과 개념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해외선물 '헤지 거래'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외선물의 유래라고 말할 수 있을만큼 헤지 거래는 해외선물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만큼 해외선물 개념, 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먼저 헤지(hedge)란 뜻을 해석하게되면 대비책이라는 뜻으로 나와있는데요. 우리가 생각하기엔 '위험회피'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해외선물에서 헤지거래가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헤지(헷지) 거래란? 증권시장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발생한 가격변동으로부터 시작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할 예정인 현물 포지션에 대응해 동일한 수령을 반대 포지션으로 취하는 것이라 말합니다...

금리의 종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여러분은 금리의 종류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신가요? 금리의 뜻은 돈을 빌려준 준 뒤 다시 되갚을 때 돈을 빌려쓴 댓가로 원금에 대한 이자를 얹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즉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금리라고 합니다. 금리도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결정이 됩니다. 자금 공급보다도 수요가 많게되면 금리는 올라가게 되고, 반대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금리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 순리입니다. ​ 금리가 높고 낮음에 따라서 돈의 흐름 방향이 달라지기도 하는데요. 금리가 높으면 돈이 어디로 몰리게 될까요? 당연히 은행 등 금융기관일 것입니다. 안정적으로 이자를 많이 받아낼 수 있기 때문이죠. 반대로 금리가 떨어지면 돈은 어디로 몰릴까요? 은행에 예금해놓지 않고 부동산이나 주식시장 ..

베어마켓 과 불마켓의 의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어마켓과 불마켓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베어마켓 (Bear Market) 이란 하락장을 말하는 것인데요. - 장시간에 걸쳐서 주가를 비롯한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거나 또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 되는 약세장 - 환시세 시장에서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고 판단되거나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행동하는 투자자를 뜻하기도 합니다. - 베어마켓의 어원은 : 곰은 자신의 앞발을 들어 위에서 아래로 내려쳐 공격을 하는 것을 보고 마치 주가가 아래로 위에서 아래로 곤두박질치는 약세장을 떠올리게 하는것에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 불마켓 (Bull Market) 이란 - 장기간에 걸친 주가가 상승하거나 강세장으로 보여질 때 - 특정 주식과 관련해서 그 주식의 가격 및 시장에서의 주가가 ..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이란?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가 살인적으로 치솟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그리드플레이션이라는 용어까지 등장을 했는데요. 오늘은 그리드플레이션이란 뜻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의 뜻은? ​ Greed의 탐욕이란 뜻과 Inflation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탐욕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미국 민주당 일각에서 대기업의 탐욕이 인플레이션을 조장한다는 비난이 나오게 되면서 등장한 용어입니다. ​ 코로나 거리두기 완화를 비롯해, 러시아와 우크라 전쟁에 관여되어 미국에서는 40년만의 최악의 물가수준까지 올랐었습니다. 그런데 미국 민주당에서는 대기업들이 이를 핑계삼아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과도하게 올려 물가 상승을 초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