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자료 234

신용부도스와프 (CDS - Credit Default Swap)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용부도스와프 CDS-Credit Default Swap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먼저 백과사전에 나와있는 내용을 인용할 경우 "부도가 발생하여 대출 원리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대비한 신용파생상품"이라고 간단하게만 알아볼 수 있을것입니다. ​ 좀 더 깊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예를 들어 A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의 물건은 시장에서 인기라 물건이 없을정도로 팔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A회사는 상품을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 생산설비를 증설하려 합니다. 은행에 대출을 신청합니다. B은행은 앞으로 10년간은 이 업체가 무지하게 잘나갈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대출을 1000억을 해줍니다. 그런데 은행은 그래도 돌다리를 두들겨보자하여(혹시 대출을 해준 A회사가 부도가..

아비트리지 : 금융시장 불변의 이론 차익거래(Arbitrage)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우리가 알아보는 차익거래는 그 의미가 사실 굉장히 단순합니다. ​ 동일한 대상을 싸게 사서 그 즉시 비싸게 팔 수만 있다면 그러한 거래는 아무런 리시크도 지지 않는, 무위험의 수익을 거두는 방법과 같습니다. 차익거래의 어원인 '아비트라지(Arbitrage)'는 '중재'혹은 '조정'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의견이 다른 양쪽을 만나게해 그 차이를 해소시킨다'는 뜻을 가졌습니다. 이 의미가 확장되어 '가격이 다르지만 대상이 같은 두 시장을 만나게해 그 가격 차이를 해소한다'는 의미에서 아비트라지가 사용된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경제학에선 이 차익거래를 '일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효율적인 시장에서는 동일한 물건은 하나의 가격을 가져야..

볼커룰(Volker Rule)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볼커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폴 볼커(1927~2019) 볼커룰이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금융기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제 방안 중 하나입니다.(미국 금융개혁법안인 '도드-프랭크법'의 부속조항) 미국 오바자 정부의 백악관 경제회복자문위원회 위원장이었던 폴 볼커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법안이기에, 그의 이름을 따서 볼커룰(Volker Rule)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가 연준 의장을 역임하던 시절은 1,2차 오일 쇼크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던 시기였습니다. 보통 무락가 오르면 경제가 호황이 되고 활발해지며, 물가가 내려가면 경기침체가 오게 되는데,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동시에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170여년 역사의 웰스파고 은행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4대 은행 중 하나인 웰스파고에 대한 이야기를 드려볼까합니다. ​ 웰스파고(Wells Fargo & Company)는 미국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기업이다. 웰스파고는 자산 기준으로 미국에서 JP모건 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씨티그룹에 이어 4번째로 큰 은행으로, 시가총액으로는 최대 은행이다. 또한 예금, 주택 융자 서비스, 데빗 카드 기준으로 2번째로 큰 은행이고, 2019년 기준 웰스파고는 미국에서 랭킹 29위의 대기업이다. 웰스파고의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해 있지만 미국 전역으로 여러 자회사가 있다. 웰스파고는 1852년 헨리 웰스(Henry Wells)와 윌리엄 조지 파고(William George Fargo)가 캘리포..

미국의 4대 은행 JP모건 체이스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 뉴스나 신문을 보면 미국의 경제와 증시를 예상하는 곳들은 주로 미국을 대표하는 4대 은행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JP모건 체이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P모건 체이스(JPMorgan Chase & Co. NYSE:JPM) JP모건은 2021년 9월 30일 기준 자산 3조 8000억달러, 주주자본 290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대형 은행입니다. 투자 은행으로써 투자를 하기도하고, 고객들에게 금융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 이렇게 대형은행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은 과거 JP모건을 만든 존 피어트 모건이 있어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신과 교황의 재산을 관리했었던 그의 대한 업적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존 피..

통화스왑(Currency Swap)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통화스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많은 나라가 달러 기근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달러 유동성의 위기를 경험했던 나라는 더욱더 경쟁적으로 더 많은 외화보유액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1997년 말 외환위기 경험이 말해주듯 IMF로부터 돈을 빌릴 경우 그 나라는 경제주권을 빼앗기고 통제를 받게 되며 국가 이미지 훼손이라는 대가를 지불하게 된 적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 통화스왑(Currency swap)이란? 외환, 채권, 주식, 원자재 등과 같은 기초자산으로부터 파생되는 금융상의 계약 형태를 파생금융상품이라 하고 이러한 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을 파생금융상품시장이라 합니다. 파생금융상품시장은 계약 방식에 따라 선물..

통화가치를 평가하는 스타벅스지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 '서울이나 뉴욕 맨헤튼에서 마시는 스타벅스 카페라떼는 홍콩에서 먹는 것보다 싸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최근 선진국과 신흥국의 인플레션 격차가 벌어지는 실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레입니다. 오늘은 스타벅스의 대표상품 격인 카페라테 가격을 기준으로 세계 각국의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해보는 스타벅스지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벅스지수란? ​ 용어해석은 각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타벅스 카페라떼(톨사이즈 기준) 가격을 근거로 국가별 물가수준과 구매력 평가환율을 비교하는 지수입니다. 기존 '빅맥(Big Mac)지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3년 처음으로 고안한 것입니다. 맥도널드의 대표 햄버거 매뉴인 빅맥의 경우 햄버거 제품에 대한 세계적인 가격 할인 경쟁에..

빅맥지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맥도날드의 대표 햄버거인 빅맥은 맛있는 음식으로서의 역할과는 전혀 상관이 없어보이는 빅맥지수라는 경제 지표로서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 이코노미스트에서 해마다 각국의 빅맥 가격을 비교하여 빅맥지수라는 것에 대해 발표를 합니다. ​ 권위있는 경제 잡지 중 하나인 이코노미스트가 여행자가에게 빅맥 가격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은 아닐테고, 대체 이것을 발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빅맥지수(Bic Mac Index)란? ​ 빅맥지수는 이코노미스트가 1년에 한번씩 각국의 빅맥 가격을 조사해 발표한 지수로써 2021년 빅맥지수는 아래 사진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조사 시점의 각 나라의 빅맥 가격과 환율을 조사한 후 미국 다럴로 환산한 ..

스태그플레이션 개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은 더욱더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임을 알리는 단어를 뜻하며, 불경기(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라 할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디플레이션과는 또다른 개념입니다. 물론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라고 하여 인플레이션의 일환으로 해석을 하기도 하지만 역시 일반적인 인플레이션과는 다르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 해석이라고 볼 수 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은 총공급 감소로 인한 효과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더욱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

긴축발작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1. 긴축발작이란? ​ - 긴축발작이란 Taper tantrum이란 스포츠 의학용어에서 왔습니다. 운동선수가 큰 대회를 앞두고 컨디션 조절을 위해 운동량을 줄일 때 안절부절 못한채 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보고 'taper tantrum'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말로 번역을 할 경우 '축소저항 짜증?'쯤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긴축발작은 2013년 미국의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장이 자산맹비 축소(테이퍼링)을 시사하자 미국의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가 급락한 현상을 말합니다. 즉 펀더멘탈이 취약한 신흥국에서 해외자본 유철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당시 테이퍼링 소식이 전해지면서 글로벌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