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자료 234

키친파동과 주글라파동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단기파동, 키친파동과 중기파동, 주글라파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키친파동이란 우선, 단기 변동 주기의 대표적인 이론인 키친파동이란(Kitchin Cycle), 1923년 영국의 조세프 키친(Joseph Kitchin)이 논문에서 주글라파동 및 콘트라티에프파동 이외에 40개월 한 주기로 하는 단기파동이 존재함을 증명한 것에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키친파동이 발표되던 해에 W.L. 크럼도 같은 주기의 단기파동을 발견하여 키친-크럼의 파동이라고도 불리지만 키친 쪽의 증명이 더 우수한 까닭에, 40개월 순환의 단기파동에 대해서는 키친파동이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 키친이 발표한 키친파동은 1890년을 기점으로 1922년까지 미국과 영국의 어음..

콘트라티에프파동 / 쿠즈네츠파동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경기변동 주가를 예측하는 대표적인 형태는 단기파동이라 할 수 있는 키친파동과 10년 주기의 중기파동인 주글라파동, 20년 주기(15~25년)의 쿠즈네츠 파동과 45~65년 주기의 콘드라티에프 파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그 네개의 파동 중 오늘 포스팅에서는 중기파동인 쿠즈네츠 파동과 대표적인 장기파동인 콘트라디에프파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쿠즈네츠파동이란 쿠즈네츠파동(Kuznets Cycles)은 중기순환으로 주순환인 주글라파동에 비해 어느정도 장기이지만, 주글라파동과 마찬가지로 설비투자의 파동에 관심을 두고 있고, GNP에서 차지하는 실질민간설비투자의 비율이 20년 정도의 주기로 규칙적으로 상하운동을 반복했다는 것을 주장한 중기순환의 경기파동이라고 할 수 있습..

경기침체를 알리는 더블딥 뜻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더블딥에 대한 뜻과 이이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더블딥(Doubledip)이란 두 번이라는 뜻의 'double'과 급강하하다라는 뜻의 'dip'의 합성어입니다. 불황에 빠진 경기가 일시적으로 회복을 하고, 다시또 침체되는 경제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경제성장률의 진행 모습이 영어 알파벳 'W'자와 흡사하게 닮아 ''W'자형 경기침체'라고도 합니다. 이런 현상은 경기침체기 후반에 실업의 누적으로 소득이 감소하게 되면서 소비가 생산을 뒷받침하지 못하므로써 다시금 불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우리말로는 [이중침체], [이중하락] 등으로 번역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몇 차례 더블딥을 겪은 이후,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의 스테판 로치가 미국 경..

비둘기파, 매파, 올빼미파의 뜻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방침을 내놓은 뒤 눈에 띄도록 자주 언급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매파'(Hawks)와 '비둘기파'(Doves)입니다. ​ 여기서 기준금리란 모든 시중금리에 있어서 그야말로 기준이 되는 금리를 뜻합니다. 기준금리를 토대로 시중금리가 연쇄적으로 따라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중앙은행 통화정책 결정자들은 회의에 모여 각자 의견을 낸 뒤 기준금리를 다수결로 결정합니다. ​ 즉, 각 국 시중금리가 전반저긍로 오르고 내리는 건 이들에게 달려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위원들의 성향을 두고 누구는 '매파', 누구는 '비둘기파'라는 용어까지 붙여가며 중요하게 다루..

버핏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거품 과열일까요? 주식 시장의 과열을 평가하는 척도 중 하나인 버핏 지수를 통하여 거품이 들어가 있는 과열시장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버핏지수(Buffett Indicator)란?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시가총액/GDP)를 의미합니다. ​ 워런 버핏 회장이 이 척도를 이용해 주식 시장 과열 및 거품을 판단하는데 시장전문가들은 높게 평가하면서 버핏지수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버핏지수가 100%일 경우에는 적정가치이고 100%이하면 저평가, 120%이상이면 고평가된 증시라고 합니다. ​ 그렇다면,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버핏 지수를 살펴 볼까요? 그러하기 위해서는 먼저 GDP와 시가총액에 대해서 알아야하는데요. ..

인플레이션과 주가지수의 관계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 오늘은 투자에 있어 아주 기초적인 경제 개념인 인플레이션과 주가지수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꼭 투자에 관한 도움이 아니어도 기본적인 경제 개념이기 때문에 알고 있으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보통 인플레이션이란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공급은 제한적이고 수요가 증가할 때 일어납니다. 또는 인플레이션이란 단순하게 통화팽창을 하여서 보통 일어나지 않습니다. 왜냐면 금리가 낮은 경우라면 모든 사람들이 대출을 받지 않기 때문이죠. 오늘날의 한국 가계부채가 증가한 원인은 많은 가계가 집을 사기 때문이며, 집을 구매하는 이유는 전세난, 아파트값 상승 등 가격이 상승하는 자산을 보면서 서둘러야 하는 심리를 만들기 때문이죠. ​ 이렇듯 인플레이션은 구..

시장을 흔드는 금리, 인플레이션의 영향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최근 핫 이슈를 가져다주는 경제주체는 무엇일까요? 바로 금리상승과 인플레이션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닙니다. 미국 장기채권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발생시키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증권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 금리 상승의 원인 채권 표면금리와 시장금리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 표면금리는 채권 발행시에 쓰여져 있는 금리를 일컫는 경우인데요. 원금 백만원에 표면금리가 연 10%라면, 연 10만원의 금리를 지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우리가 지금 말하는 채권의 금리는 '시장금리(현물이자율)'입니다 시장에서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금리'를 말하는데요. 채권의 '시장가'를 표현해주는 거시라고 이해하시면 간단합니다. 채권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

국제통화기금(IMF) 뜻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 성장과 재정 안정을 촉진시키고 국제 무역을 장려하며 빈곤을 줄이는 국제기구입니다. 회원국의 할당량은 IMF 결정의 투표권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입니다. 투표는 100,000SDR(특별 인출권) 할당량 및 기본 투표 당 1표로 구성됩니다. SDRS는 IMF가 회원국의 기존 자금 준비금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국제 통화 준비 통화입니다. 구분: 국제금융기구 설립연도 : 1945년 소재지 : 미국 워싱턴 설립목적 : 세계무역의 안정된 확대를 통해 가맹국의 고용증대, 소득증가, 생산자원에 개발에 기여 주요활동 : 외환시세 안정, 외환제한 제거, 자금 공여 규모 : 가입국 190개국 총재 ..

기펜재(Giffen's Goods)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경제에 관한 뉴스를 접할 때 흔하게 볼 수 있는 용어 중 하나인 기펜제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펜재(Giffen's Good)란? ​ 기펜재란 가격상승할 때 수요가 늘어나고, 가격이 하락할때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입니다. 즉 수요의 법칙에 성립하지 않는 재화입니다. 기펜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소득이 증가시 감소하는 열등재(Inferior Good)의 성격을 갖고 있다. ​ 둘째, 열등재이기 때문에 소득 증가시 수요가 감소하는 소득효과의 크기가 가격 하락시 수요가 증가하는 대체효과의 크기보다 큰 재화를 의미합니다. ​ 다들 이해가 가시나요? 이렇게 말한다면 쉽게 이해하지 못할수도 있는데요. 일단 가격이 하락하면서 수요량이 줄어드는..

FOMC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FOMC에 대한 이야기를 해드릴까 합니다. FOMC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주체입니다. 왜 우리는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주체를 알아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FOMC는 기축통화인 달러의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으로서 FOMC는 그 어떤 경제기관들보다 파워가 쎈 세계 최강의 경제기관이기 때문입니다. 달러의 가치는 골드, 유로, 엔화 등과 많은 연관성이 있는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이 말은 즉 우리가 해외선물 매매를 함에 있어서 FOMC의 결정에 따라 그날의 변동성을 예측해볼 수도 있다는 말과도 같은 맥락입니다. 보편적인 상황에선 예측을 하고 대응을 한다면 수익의 확률점이 높겠지만 시장에는 항상 변수가 많기에 금리가 인하됐다라는 정보만을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