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 62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란?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와 용역의 평균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미국의 노동부가 소비자물가를 지수를 조사해 산출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이라는 조직에서 조사하고 발표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변동률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측정해낼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이용하여 급여(Wage), 봉급(Salary), 연금, 물가를 연동시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인구조사 등과 함께 국가의 기본적인 경제통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대세는 낙관인데…JP모건 "S&P500지수 내년 8% 하락 가능성"

월가의 전략가들이 잇따라 내년 미국 주식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JP모건체이스가 이와는 반대로 8% 하락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JP모건의 글로벌 증시 수석 전략가인 두브라브코 라코스-부하스는 글로벌 성장 둔화, 가계 저축 감소, 정책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미 대통령 선거를 포함한 지정학적 위험 상존 등의 이유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내년 말 4,200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S&P500지수가 이날 종가 기준으로 4,550.58인 점을 감안하면 현재보다 8% 낮은 수준이다. 라코스-부하스 전략가는 마르코 콜라노비치 수석 시장전략가와 함께 작성한 보고서에서 "연방준비..

해외경제뉴스 2023.11.30

5.2% 성장에도 금리 '뚝'…밈주식 급등, 랠리 징후?

◆미국 주식 : 다우 +0.04%, S&P500 -0.09%, 나스닥 -0.16% ◆미국 채권 : 국채 10년물 4.269%(-6.7bp), 2년물 4.645%(-9.1bp) 미국의 금리가 뚝뚝 떨어지고 있습니다. 29일(미 동부시간) 아침에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연 4.253%까지 내려가기도 했습니다. 2년물은 4.608%까지 떨어지고요. 어제 미 중앙은행(Fed)에서 '매파'로 꼽히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예상치 않게 비둘기파적 발언을 쏟아낸 게 핵심 원인입니다. 그는 "현재 통화정책이 경제를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는 확신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라면서 금리를 더 올리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했습니다. 이에 덧붙여 "디스인플레이션이 몇 달 더 지속한다면 인플..

해외경제이슈 2023.11.30

경기선행지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모든 경제지표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암기하지 마시고 이해할 수 있도록 그 상황을 반복적으로 연상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해외선물 경제지표 중 하나인 경기선행지수를 알려드리록 하겠습니다. ​ 매일매일 수많은 지표가 쏟아져 나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투자자들은 그 소중한 정보를 그냥 흘러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 지표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것들이 있는데, 그 중 경기선행지수가 아마도 시장을 움직일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경제지표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경기를 선행한한다고 주장하는 지표드른 꽤 여러가지가 있는데, 좀 더 많은 경제 지표들을 합성해서 정확도를 높인 것을 경기선행지수라 합니다. 경기선행지수 무엇인가(Leading Economic Indicators, ..

"금리인상 불필요" vs "금리 더 올려야" 연준 간부들 이견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 간부들이 금리 인상을 두고 이견을 노출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추가 금리 인상은 불필요하다”고 말했고, 미셸 보먼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아직도 높아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연준 간부들이 이견을 노출하고 있는 것은 금리인상 캠페인 종료가 다가왔음을 상징한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 시장도 추가 금리 인상이 불필요하다는 월러 이사의 발언에 반응했다. ◇ 월러 이사 “추가 금리인상 불필요” : 월러 이사는 2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 금융 관련 행사에서 “추가 금리인상은 불필요하다”고 발언했다. '연준의 매파'로 분류되는 그는 "지금의 통화정책 기조가 미 경제를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는데 적절하다는 확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

해외경제뉴스 2023.11.29

‘매파’ 월러 "금리 내릴 수도"…12월 초 조정 온다?

◆미국 주식 : 다우 0.24%, S&P500 0.10%, 나스닥 0.29% ◆미국 채권 : 국채 10년물 4.325%(-6.3bp), 2년물 4.743%(-11.4bp) 11월에 뉴욕 증시가 엄청난 랠리를 벌인 것은 미 중앙은행(Fed)이 이르면 내년 3월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가 커진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 많습니다. 10월 소비자물가(CPI)가 3.2%로 떨어지는 등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10월 고용도 15만 개 증가에 그치는 등 뜨거웠던 노동시장도 냉각 기미를 보인 덕분입니다. 찰스 슈왑은 "지난 7월 말부터 10월 말까지 미국 주식이 10% 조정을 받았던 것은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4% 미만에서 5%로 급등한 것과 직접적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그 이후 이어진 랠리는 경기와 물..

해외경제이슈 2023.11.29

각종 주택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신규, 기존, 모기지신청건수)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미국 주택시장 지표는 미국 개인들의 소비 근간이며 부동산 가격의 변화에 따라 향후 소비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경제지표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에서 기존 주택 판매 시장은 신규 주택 판매 시장보다도 큰 시장이며, 주택매매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 이상입니다. 하지만 큰 비중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신규주택보다 낮은 이유는 건설 산업에 영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주택보유자와 주택구매자 사이에 주택 소유권 이전되면서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에 신규주택이 비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존주택 판매 동향으로 미국 경제 상황은 충분히 파악해낼 수 있습니다. ​ 미국의 부동산 시장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2가지..

'블프' 소비=골디락스…블랙록 "금리 또 오른다"

◆미국 주식 : 다우 -0.16%, S&P500 -0.20%, 나스닥 -0.07% ◆미국 채권 : 국채 10년물 4.387%(-9.7bp), 2년물 4.886%(-7.3bp) 27일(미 동부시간) 아침 뉴욕 금융시장에서 금리와 유가, 달러가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중국에서 공업기업들의 1~10월 이윤 총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줄어든 것으로 발표된 게 영향을 줬습니다. 또 유가 하락에는 OPEC+가 30일로 연기된 각료회담을 앞두고 여전히 나이지리아 앙골라 등 아프리카 회원국들의 기본 생산량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다는 뉴스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휴전 협정을 연장하기로 합의한 것도 마찬가지고요. 결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90% 하락한 배럴당 74.8..

해외경제이슈 2023.11.28

딜로이트·KPMG, 홍콩 출장 직원들에 "일회용 휴대폰 써라"

세계 빅4 회계·컨설팅 업체인 딜로이트와 KPMG가 홍콩 출장을 가는 직원들에게 '일회용 휴대폰(burner phone)'을 쓸 것을 권고하고 나섰다. 중국이 보안법을 통해 홍콩내 외국인들의 동태 감시를 강화하고, 이들의 휴대기기에서 데이터를 탈취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과거 정보가 기록돼 있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신 이전 기록이 없는, 버려도 무방한 값 싼 일회용 휴대폰을 쓰라고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이하 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딜로이트와 KPMG가 미국 경영진에게 중국과 홍콩 출장을 갈 때에는 일회용 폰을 사용토록 권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예전에는 중국 출장에만 적용되던 규정이었다. 컨설팅 업체 맥킨지도 중국이나 홍콩 출장에는 별도의 폰을 사용..

해외경제뉴스 2023.11.28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지수(PMI)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해외선물 경제지표 중 제조업지수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전미구매관지자협회(NAPM)는 미국 기업체의 구매담당자들을 교육하고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단체로 1915년에 창설하였습니다. 이 협회는 구매관리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자격증(CPM)도 발부하고 있습니다. 2002년 현재 NAPM은 미국 50개주에 180개 지부가 있고 4만 8000여명의 회원이 있습니다. ​ NAPM Index(=PMI) NAPM에서는 1948년부터 '구매관리자지수(NAPM Index)'를 발표하였으며, 이 지수는 미국 제조업분야의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정확한 용어는 구매관리자지수(PMI: Purcha sing Manager's Index)이나 통상 NAPM이 지수 자체를 가리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