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5 3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각 국가별 경제 불황기에는 여러방면으로부양정책들을 쏟아내기 위한 노력들을 가하고 있습니다. 그 중 금리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하였을 때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양적완화라 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라는 것은 화폐를 풀어 통화가치의 하락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미국에서 양적완화를 시행한다면 기축통화인 달러의 하락을 나타내고 달러와 디커플링인 금(Gold)의 상승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양적완화는 장기적인 정책이므로 장기추세파악에 큰 도움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Quartitative Easing)란 무엇일까? 중앙은행의 정책으로 금리인하를 통한 ..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고점 부담에 숨고르기

최근 미국 증시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록적인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피벗에 대한 시장 기대가 과도하다는 시각이 늘고, 고점에 대한 부담이 늘면서 오늘(5일) 3대 지수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11% 떨어졌고, S&P 500 지수는 0.54% 하락했습니다. 나스닥지수는 0.84% 떨어지면서 3대 지수 중 가장 낙폭이 컸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반등하면서 개별 기업들은 빅테크를 중심으로 크게 빠졌습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0.95%, 1.43% 밀렸고 알파벳과 아마존도 모두 2%가량 떨어졌습니다.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를 겨냥해 중국용 칩을 제작할 경우 바로 통제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2.68% 떨어졌습니다. 메타는 저커버그 CEO가 2년 ..

해외경제뉴스 2023.12.05

골드만 "산타 지쳤다"?…13일 FOMC 대예측

◆미국 주식 : 다우 -0.11%, S&P500 -0.54%, 나스닥 -0.84% ◆미국 채권 : 국채 10년물 4.259%(+3.5bp), 2년물 4.637%(+7.0bp) 4일(미 동부시간) 뉴욕 금융시장은 중요한 이벤트나 경제 데이터 발표 없이 조용한 가운데 최근 한 달과는 다른 흐름을 보였습니다. 금리는 오르고 주가는 하락했습니다. 2020년 이후 최고가를 치닫던 금은 갑자기 하락세로 반전하더니 2% 넘게 떨어졌습니다. 뭔가 추세가 바뀐 것일까요? 뉴욕 채권시장에서 국채 수익률은 아침부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습니다. 아침부터 슬금슬금 오르더니 아침 10시 공장 주문이 발표된 뒤 더 올랐습니다. 공장 주문은 10월에 3.6% 감소했는데, 월가 예상 -3.5%보다 더 나빴습니다. ..

해외경제이슈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