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7 3

베블런 효과와 밴드웨건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은 경제용어중 베블런 효과와 밴드웨건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배웠던 가격에 따른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따르면 제품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드는 것이 당연지사입니다. 하지만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변화가 없거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이 바로 베블런효과와 밴드웨건 효과에서 나타나는 가격과 수요 곡선입니다. ​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란? 베블런 효과는 고가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끊이질 않는 과시형소비 행태를 일컫는 것으로,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 책을 집필한 미국의 경제학자 '베블런'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프리미엄'을 붙인 고가의 제품을 출시해 구입..

엔비디아 또 3% 이상 급등, 시총 2조2000억달러 돌파

생성형 인공지능(AI) 최대 수혜주 엔비디아가 랠리를 지속,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거래일보다 3.18% 급등한 887.0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다. 이로써 시총도 2조2170억 달러로 집계돼 2조2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앞으로 5000억달러만 추가하면 시총 2위 애플을 제친다. 이날 엔비디아와 관련, 특별한 재료는 없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의회 반기 보고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전에 조금 더 많은 데이터를 볼 필요가 있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다는 확신이 커지면서 연준이 올해 어느 시점에서 완화 정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증시는 연내 어느 시점에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 것이란 발언에..

해외경제뉴스 2024.03.07

테슬라 올해 적자? 조나스 "100달러 더 하락"

미 중앙은행(Fed) 제롬 파월 의장의 오전 10시 의회 증언을 앞두고 6일(미 동부시간) 뉴욕 금융시장에는 작지만 긍정적인 인플레이션 소식들이 쏟아졌습니다. ⑴ 실적 발표에 나선 캠벨 수프의 지난 분기(2024회계연도 2분기) 매출은 1% 감소했습니다. 가격을 1% 인상했고 판매량은 2% 감소한 탓입니다. 캠벨 수프는 그동안 가격을 지속해서 인상해온 곳입니다. 2023 회계연도 4분기에는 10%, 1분기에는 3% 올렸다가 판매량이 줄어드니까 지난 분기 1%만 올린 것이었죠. 더는 큰 폭의 가격 상승이 어렵다는 뜻입니다. ⑵ 리얼터닷컴은 주택 매물이 4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2월에 작년 동기보다 14.8%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다 보니 가격을 낮춘 매물 비율이 13.2%에서 14.6%로 증가했습니다...

해외경제이슈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