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1 3

기저효과(Base Effect)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프로입니다 오늘 경제용어중 하나인 기저효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여러분들은 기저효과란 말을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기저효과는 특정시점의 경제상황을 평가하고자 할 때 비교의 기준으로 삼는 시점에 따라 주어진 경제상황을 달리 해석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요. ​ 기저효과에 사전적의미는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 쉽게말해 기저효과란 기준 시점의 위치에 따라 지표가 실제 상태보다 더 위축되거나 부풀려진 현상을 일컫습니다. ​ 각종 경제지표가 좋거나 나쁘거나 말을 할 때는 어떠한 비교대상이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각 다생들 간의 변화량과 변화율을 따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또한 어느..

美연준, 기준금리 5연속 동결… 한·미 기준금리 격차 속 한은 고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기준금리 5회 연속 동결하면서 국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한국은행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한미 금리차 확대에 따른 자금 이탈 우려에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움직이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와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연준은 20일(현지 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존 5.25~5.5%이던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다섯 차례 동결이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지난 2001년 이후 23년만에 최고 수준이 유지됐다. 한국(3.50%)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으로 2.00%포인트다. 연준은 이날 점도표를 통해 올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세 차례 인하할 계획을 밝혔다. 올해 말 기..

해외경제뉴스 2024.03.21

파월 "(어쨌든) 인하"…마이크론 "우리가 AI 최대 수혜"

20일(미 동부시간) 뉴욕 금융시장은 오후 2시까지 조용했습니다. 모든 투자자는 오후 2시에 발표되는 미 중앙은행(Fed)의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기다렸습니다. S&P500 지수가 0.07% 약보합세를 보이고,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1.5bp 오름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오후 2시가 되었습니다. 모두 Fed가 홈페이지에 띄운 점도표(dot plot)부터 찾아봤습니다. 월가가 희망했던 2024년 기준금리 전망치 중앙값은 4.625%로 유지됐습니다. 올해 말까지 지금보다 25bp씩 세 차례 내릴 것이란 얘기입니다. 작년 12월 점도표와 비교하면 당시 네 차례 이상 내릴 것으로 본 위원이 5명이었는데 3월 1명으로 확 줄었습니다. 3차례 인하를 내다본 사람은 6명에서 9명으로 증가했고요...

해외경제이슈 2024.03.21